본문 바로가기

에프랩 F-lab

[F-Lab] F-Lab(에프랩) 데이터 엔지니어링 코스 3개월 후기

멘토링 3개월 차 후기 글을 작성합니다.

연말~연초 공휴일로 인해 일정 변경이 몇 번 있어 공백이 있기도 했고 저의 글 작성도 조금 늦어졌습니다.

 


2개월 차와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

3개월 차에 가장 메인이 되는 것은 프로젝트 진행이었습니다.

프로젝트의 핵심 부분(개발)은 3개월 차에 대부분 마무리 지으려 하였고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습니다.

실제로 개발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F-lab을 진행하며 결과물을 내는 활동이므로 가장 집중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이론(멘토링)에 대한 학습도 실무에서 활용하는 주요 기술로 자연스럽게 넘어오게 되었습니다.

저의 경우 분산 환경에 대해서 주로 학습하였습니다.

 

여기서 먼저 말씀드릴 것은 3개월 차에도 저는 멘토링에 대해서 만족스럽습니다.

여전히 멘토님과의 멘토링 시간은 긴장감 있고 두려운 부분도 있지만 그 시간을 유의미하게 보내기 위해서 한 주간 많은 준비를 해갑니다.

 

프로젝트에 대해서

멘토님과의 심도있는 질문 티키타카는 매주매주 큰 긴장감과 두려움을 갖게 합니다.

그럼에도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지 않았다면 멘토링 기간이 조금 지루(?)하다고 느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저의 일주일은 더더욱 바빠지게 되었고 조금이나마 더 개발하고 더 학습하며 멘토님께 많은 부분을 얻고자 노력한 것 같습니다. 

 

데이터 엔지니어는 실무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는 그러한 규모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처리하는 비용 문제로 인하여 진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굉장히 많은 부분을 가정하고 고려하며 진행하게 됩니다. 코드 뿐 아니라 TDD, Git flow, PR, 인프라 등 을 함께 고려하며 진행하였습니다.

(이런 부분은 모든 멘토님들이 동일하게 진행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의 멘토님께서는 실무에서 개발하는 환경에 대해서 최대한 유사하게 진행하길 바라셨습니다.)

이런 개발 문화나 환경에 대해선 많은 테크 기업들이 테크 블로그에 공유한 내용들을 많이 읽고 고민해보려 노력하였습니다.

 

현재 저의 프로젝트의 상황은 로직 구현은 모두 완료하였고 airflow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가 학습하던 것들은 제대로 된 학습이 맞았나

저는 에프랩 이전에도 업무 외에 개인학습을 꾸준히 진행해왔습니다. 회사 내부에서 쓰는 툴 뿐 아니라 대부분의 데이터 엔지니어들이 많이 사용하는 기술 및 오픈소스들에 대한 니즈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항상 학습을 진행하다보면 크게 와닿는 것이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학습을 하다보면 단순히 해당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얕게만 고민해왔던 것 같습니다. spark의 경우에도 메모리 관리가 중요하다고 학습하지만 왜 중요한지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는지 어떻게 메모리 관리를 해야하는지에 대해선 깊게 공부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서적과 강의를 들으며 개인 학습을 했었습니다) 단순히 spark가 무엇인지 어떠한 원리로 동작하는지 어떠한 역사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만 얕게 학습하니 개인적으로 학습을 하더라도 크게 남는 것이 없고 학습이 누적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에프랩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실제로 코드를 여러 부분을 고려하며 코드를 작성하였고 추가적으로 멘토님과 근본적인 학습을 진행하면서 낯선 기술에 대해서 어떻게 학습하는지 무엇을 학습하는지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멘토님이 질문하시는 상황과 그걸 고려하는 이유 등에 대해서 고민해보지도 못한 부분들을 알게 되었고, 정말 제대로 된 공부를 하지 않았구나 내가 학습한 것은 부가적인 부분에 불과하구나 라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멘토링을 조금 더 일찍 알고 시작하였다면 저는 지금보단 조금 더 성장해있는 개발자가 되었을 지 모른다는 후회가 들지만 지금부터라도 꾸준하게 학습하며 성장해보자는 다짐을 매주 하고 있습니다. 

 

멘토님에 대해서

제가 멘토링을 시작할 때에는 멘토님을 고를 수 있었지만 제가 처음 에프랩을 알게 되었을 때에는 멘토님을 제가 고를 수 없었습니다. 

이 부분도 멘토링을 시작하기에 앞서 가장 고민이 됐던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저의 멘토님은 제가 항상 바래왔던 시니어 그 자체였습니다. 많은 것을 알고 계시고 본인의 경험을 공유해주시고 저의 멘탈과 학습 방향에 대해서도 많은 지도를 해주십니다. 멘토링 시간에 매번 열정적으로 말씀해주시고 하나라도 더 알려주시고자 하는게 많이 느껴지고 오히려 제가 많은 것을 얻지 못할까봐 걱정해주시는 분입니다. 멘토링 시간 외에도 제게 도움이 되는 아티클도 공유해주시고 저의 질문에 대한 피드백도 한결같이 빠르게 주십니다. 저를 정말 신경써주신다는게 느껴지기 때문에 저도 매주 공부를 해가고 멘토님과의 좀 더 건실한 대화를 나누고자 노력하는 것 같습니다.

 

에프랩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을 보면 다른 멘토님들의 말씀들도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 다른 멘토님들도 에프랩 멘티들의 성장을 위해 많은 좋은 말씀들과 경험들을 공유해주신다는게 느껴집니다. 

 

저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발생하는 궁금한 점들 뿐 아니라 실무에서 진행하며 궁금했던 것들, 시니어가 없어 무엇이 더 나은 선택인지 판단할 수 없던 것들도 멘토님께 문의드리며 답변받으며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처음 시작할때는 많은 고민과 함께 시작했던 에프랩이 벌써 3개월 차가 지나갔습니다.

 

그렇게 많은 고민을 했던 것이 바보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너무나도 만족스러운 시간들이고 기간 연장을 하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저의 멘토님은 개인사정으로 연장을 진행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다른 멘토님과 연장이 되는 것 같습니다)

 

멘토님의 말씀대로 현재 저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집중할 것이 무엇인지 고민을 해보고 멘토님과 진행했던 것들을 소화하고 이후 계획을 세워보려고 합니다. 이후 계획에 멘토링 연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연장을 염두에 두고 남은 멘토링을 진행하면 느슨해지는 것이 느껴져서 우선 정해진 멘토링 기간까지만으로 생각하고 열심히 남은 기간을 달리려고 합니다.

 

마지막 한달은 이력서도 작성해야하니 4달간 정말 쉴 틈 없이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